메인콘텐츠 바로가기

자격증정보

Hotel & Tourism
Management

Global 호텔관광경영 전문가를 양성하는 전국최고의 호텔관광경영과

자격정보

자격증정보

수행직무

호텔 및 이와 유사한 사업체에서 고객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영접, 객실안내,짐 운반, 객실예약, 우편물의 접수와 배달, 객실열쇠의 관리, 객실정리, 세탁 및 보급,음식제공 등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수행.

취업전망
  • 현재 취득자들은 관광호텔 및 전국 관광지역에 있는 각종 숙박업소에 진출.
  • 앞으로 호텔 수는 관광산업의 활성화에 따라 더욱 많아질 전망
  • 관광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더불어 관광사업에 대한 국가의 정책이나 시설 확충 면에서 현대화를 꾸준히 시도하고 있으며, 관광사업을 국가전략산업화 하고 있어 유망한 분야임.
시험안내
  • 시행처 : 한국관광협회
필기시험 면제
  • 초. 중등교육법에 의한 고등학교 또는 고등기술학교 이상의 학교에서 관광분야의 학과를 이수 하고 졸업한 자(졸업 예정자를 포함한다)
  • 관광숙박업소의 접객업무를 2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시험응시에 필요한 공인 외국어시험 점수
  • TOEIC,490점 이상
  • TEPS,381점 이상
  • TOEFL(CBT),147점 이상
  • JPT,510점 이상
  • 日檢(NIKKEN),500점 이상
  • HSK,244점 이상

관광숙박업 분야 관광종사원의 직무 수행내용을 자격별로 보면 호텔경영사와 호텔관리사는 관광사업소의 호텔에서 객실 예약업무, 객실판매 및 정비업무,접객업무,회계업무,식당업무,연회업무,주방업무,판촉 업무 등 제반 호텔관리 업무에 대한 계획을 수렴, 조정하며 종사원의 근무 상태를 지휘. 감독한다.

응시자격
  • 호텔관리사 자격을 취득한 후 관광호텔에서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 특2등급 이상 관광호텔의 임원으로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시험과목
  • 듣기시험 : 영어 듣기 평가(40문항)
  • 면접시험 : 국가관, 사명감등 정신자세, 전문지식과 응용능력, 용모, 예의, 품행 및 성실성,의사발표의 정확성과 논리성
  • 필기시험 : 관광법규(10%), 호텔회계(30%), 호텔인사 및 조직관리(30%), 호텔마케팅(30%)
면제사항
시험전부면제

호텔경영분야의 박사학위 소지자이거나 관광호텔에서 10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로서 문화관광부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인

필기시험면제
  • 호텔관리사 중 종전의 1급지배인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특2등급 이상 관광호텔의 부장급 이상 으로 3년 이상 종사한 자
  • 호텔관리사 중 종전의 1급지배인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그 자격을 취득한 후 1등급 관광호텔 의 총괄관리 및 경영업무에 3년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검정방법
  • 1차 : 영어듣기평가, 면접 시험
  • 2차 : 필기시험 : 관광법규(10%), 호텔회계(30%), 호텔인사 및 조직관리(30%), 호텔마케팅 (30%)
  • 면접시험에 합격하지 아니한 자는 필기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합격기준
  • 듣기시험 : 60점이상
  • 면접시험 : 평균 60점 이상
  • 필기시험 : 매 과목40점 이상, 전 과목 점수가 상기 배점비율로 환산하여 평균 60점 이상
시험응시에 필요한 공인 외국어시험 점수
  • 영어 : 토익(800점 이상), 텝스(728점 이상), 토플(230점 이상)
  • 시행청: 한국관광공사 http://www.knto.or.kr

개 요

조주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조주작업과 관련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제공된 칵테일에 대한 재료의 선정 및 계량과 조주 작업과 관련된 기구를 바르게 사용하여 칵테일을 만드는 업무수행.

취득방법
  1.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2. 훈련기관 : 호텔관광관련 대학 및 조주 기술학원
  3. 시험과목
    • 필기 : 1.양주학개론 2.주장관리개론 3.기초영어
    • 실기 : 칵테일조주작업
  4.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 : 작업형(7분 내외)
  5.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6. 응시자격 : 제한 없음

정의

신규 고객 유치, 기존 고객유지 및 수익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고객 행동을 이해하고, 영향을 주기 위한 광범위한접근 (Gardner Group) 고객관계를 증진시키고 고객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입체적으로 고객정보 및 기업정보(Business Intelligence)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영향을 미치는 분야의 제반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자동화하고 관련 채널을 통합하여,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며, 업무 효율성을 높여 기업경영성과를 향상시키는 시스템

특징
  • 호텔 정보 시스템에 특화된 CRM 모델 지원
  • CRM을 위한 데이터 웨어하우징(DW)구축 컨설팅
  • 호텔 부서별 부분 CRM 지원 기능
  • 경영자정보시스템(EIS) / 원가관리 지원
  • 웹 기반의 고객 접점 관리(MOT) 지원
  • 균형성과표 (Balanced Score Card) 지원
  • 원가관리 및 P&L을 위한 통계 자료 지원
  • 호텔 ERP 구축을 위한 다양한 경영 분석 보고 기능
경영측면
  • 신속한 정보를 제공
  • 신뢰할 수 있는 호텔 이미지 부각
  •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
고객측면
  • 다양한 정보 제공
  • 간편한 업무처리로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
  •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교환이 가능
기타
  • 중단없이 시스템을 운영
  • 수행속도가 향상
  •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 전산인력의 고급화 및 전문화가 가능

딜러 기초교육
(1) 칩스워크 (Chips Work)
  1. 파지법 - 칩스를 1스탁(Stack)씩 잡는 훈련.
  2. 칩스줍기 (Mucking. Stacking) - 칩스를 양손으로 빨리 줍어서 1스탁(20개)을 만드는 기술.
  3. Chips Cutting (Size Matching) - 베팅되어 있는 임의의 칩스를 같은 높이로 자르는 기술
  4. Drop Cutting - 칩스를 원하는 수량만큼 엄지의 감촉으로 끊어 떨구는 기술.
  5. 칩스집기 (Picking Chips Off) - 소량의 칩스를 원하는 수량만큼 정확하게 집어내는 것.
  6. Chips Drag - 1스탁의 칩스에서 밑에 부분을 긁어서 소량의 칩스를 확인하기 위하여끊어내는 것.
  7. Pushing Stacks - 2스탁부터 10스탁까지 각각 모양을 만들어서 손가락으로 밀어주는기술
  8. 룰렛 테이블 정리 (Clearing the Table) - 룰렛게임에서 죽은 칩스(Losing chips)와 산 칩스(Winning chips)를 정리하는 것.
(2) 카드워크 (Cards Work)
  1. 카드잡는법 - 양손으로 카드를 안전하고 다루기 편하게 잡는 법.
  2. 카드펼치기 (Fanning Cards) - 카드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채살 모양으로 펼치는 기술
  3. 카드워싱 (Cards Washing) - 카드를 뒤집어서 골고루 섞는 것.
  4. 카드셔플 (Cards Shuffle) - 카드 1덱을 반으로 나누어서 양손 엄지와 검지로 한 장씩 섞여 들어가게 하는 기술로 이때 나머지 손가락은 보조역활을 하여 준다.
  5. 카드컷팅 (Cards Cutting) - 셔플한 카드묶음을 오른손으로 들고 왼손으로 몇장씩 떼어내는 기술.
  6. 슈(Shoe) 사용법 - 셔플이 끝난 카드묶음을 슈에 넣고 한 장씩 분배(Drawing)하는 기술
  7. 인디케이트 카드(Indicator Card)의 용도 및 사용법 - 고객에게 셔플한 카드묶음을컷팅받는 법.
  8. 카드 카운팅 (Cards Counting) - 두, 세장의 카드숫자의 합계를 신속히 덧셈하는 훈련.
교양 교육
(1) 게임실무이론

카지노 게임의 규칙(Rule)과 진행방법, 사용하는 용어해설 등을 교육함.

(2) 카지노 산업론

카지노의 역사 및 산업화, 마켓팅, 앞으로의 전망 등을 교육함.

(3) 실무 일본어

카지노 영업장에서 실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일본어를 집중교육하여 딜러실무에 고객 서비스에 어려움 없이 근무할 수 있도록 교육함.

(4) 실무 영어

게임규칙(Game Rule) 및 딜러 콜링 등, 딜링에 필요한 영어를 교육함.

(5) 서비스 매너

서비스 맨으로서 갖추어야 할 예절 등을 배워 소양을 갖추도록 교육함.

게임 실무교육
(1) 룰렛게임 (Roulette Game)
  1. 게임에 필요한 딜링 콜링(Dealing Calling) 익히기.
  2. 공 스핀(Ball Spinning)하기.
  3. 마커(Marker=Dolly) 사용법.
  4. Zone별 페이(Payoff) 배수익히기. (Straight, Split, Street, Corner, Line Bet)
  5. Out Side Bet 테이크 및 페이하기
  6. 컨비네이션 베팅 공식배수 익히기.
  7. 루징베팅(Losing Bet)을 테이크하고, 윈닝베팅(Winning Bet)을 페이하는 훈련.
  8. 휠(Whell)의 숫자배열 암기하기.
(2) 블랙잭게임 (BlackJack Game)
  1. 딜러핸드가 Ace Open일 때의 블랙잭규칙(B/J Rule) 숙지훈련. (Even-money 및 Insurance Bet 등)
  2. 신속하고 정확하게 카드 분배(Card Drawing)하는 방법 및 훈련.
  3. Pair Split Betting 숙지훈련. Double Down Betting 숙지훈련.
  4. Surrender 규칙 숙지훈련.
  5. Signal(Hand Sign) 숙지훈련(손으로 Hit, Stay, Surrender를 요구하는 Hand-Sign).
  6. 버스트(Bust) 처리하기.
(3) 바카라게임 (Baccarat Game)
  1. 바카라 PLAYER Hand Rule 숙지훈련.
  2. 바카라 BANKER Hand Rule 숙지훈련.
  3. 카드 분배(Cards Drawing) 및 카드다루기.
  4. 스쿠퍼의 스쿠프(Scoop) 다루기 및 딜링콜 암기하기.
  5. BANKER 커미션 계산훈련.
  6. 페이맨(Pay-Man) 훈련.
  7. 미니바카라(Mini-Baccarat) 게임익히기.
(4) 스투드포커 게임 (Stud Poker Game)
  1. 포커 족보(Rank) 숙지훈련.
  2. 카드분배하기 및 카드거두기 훈련.
  3. ANTE Betting 훈련.
  4. BET Betting 훈련.
  5. 윈닝 베팅 페이하기 및 테이크 훈련.
게임 숙달훈련
  1. (1) Roulette Practice
  2. (2) BlackJack Practice
  3. (3) Baccarat & Mini Baccarat Practice
  4. (4) Stud Poker Practice

칩스팔기 및 칩스바꾸기(Chips Change) 반복훈련.
실제게임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여 반복적으로 딜링을 훈련한다.

교육기관
  • 각급 카지노 운영사업체에서 운영하는 아카데미
  • 부산정보대학 호텔경영학과 및 카지노학과 개설 전문대학

컨벤션기획사2급
수행직무

국제회의 유치ㆍ기획ㆍ준비ㆍ진행 등 제반업무를 조정ㆍ운영하면서 회의목표 설정, 예산관리, 등록기획, 계약, 협상, 현장관리,회의 평가의 직무수행

취득방법
  1.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 02-3271-9190~1)
  2. 응시자격
    • 대학 졸업자(졸업예정자), 관련분야 실무경력 4년 이상 등
  3. 시험과목
    • 필기 (매과목 100점):
    • 순번 과목코드 과목명 (L0050 컨벤션산업론, P1010 호텔관광실무론, L0070 컨벤션영어)
    • 실기 (100점) : 컨벤션 실무(컨벤션기획 및 실무제안서 작성, 영어서신 작성)
  4. 합격기준
    • 필기 : 매 과목 40점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60점 이상

"바리스타"를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힘든 일입니다. 이탈리아 어원을 따르면 'Bar 안에 있는 사람'이란 뜻으로 굳이 해석을 한다면 '바텐더'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흔히 국내에서는 업장을 관리하는 사람을 지배인(점장)이라 하는데 이탈리아 카페(Caffe')에는 여러명의 바리스타를 관리하는 바맨(BarMan)이 있습니다.

"바리스타"는 단순히 완벽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제조하는 능력을 소유한 사람이라 할수 없습니다. 국내에서 바리스타라함은 커피를 추출하는 사람을 총칭하는데 바리스타는 그 자체가 하나의 완벽한 서비스와 소양이 갖춰진 사람이어야 합니다. 완벽한 에스프레소를 추출과 좋은 원두의 선택, 커피머신의 완벽한 활용, 고객의 입맛에 최대한의 만족을 주기 위한 손 터치가 매우 중요합니다.

무엇보다도 먼저 어떤 커피를 선택할 것인가 하는 결정부터 어떠한 커피머신을 운용할 것인지, 어떻게 커피머신의 성능을 유지시킬 것인지를 알아야하며 세번째로 완벽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기 위해 방법을 알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모든 능력을 소유한 사람만이 진정한 바리스타라 칭송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 고객에 대한 조건 없는 봉사와 100% 고객만족을 추구하는 서비스정신, 예절, 매너
  • 에스프레소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이론적인 지식 소유
  • 커피기계 작동과 원리에 대한 지식 및 응급대처 능력
  • 각 메뉴별 커피조리에 따르는 완벽한 기계관리 및 맛 추구
  • 커피외 취급 메뉴에 대한 완벽한 이해
  • 기계의 유지 관리 및 그라인더의 유지관리 능력

제 1조 (목적)

글로벌시대 국가의 위상을 드높이고, 건전한 와인 소비문화를 선도하는 자에게 전문 자격을 부여하여, 와인산업에 관련된 전문 직업인으로서 품위와 위상을 정립하는 데 있음.

제 2조 (자격시험의 정의)

소믈리에 자격 시험은 한국 소믈리에 협회에서 그 자격이 있는 자에게, 공인된 자격을 부여함으로, 공인된 소믈리에로서의 전문지식을 함양하여 사회에 봉사하고, 건전한 음료문화를 선도할 공인으로서의 자격을 부여하는 시험이다.

제 3조 (자격의 명칭)
  1. 1. Sommelier : On Premise에 종사하고 있는자에 대한 자격(호텔식음부서, 레스토랑등)
  2. 2. Wine Adviser : Off Premise에 종사하고 있는 자에 대한 자격(주류수입, 도매, 와인샾, 백화점등의 주류코너등)
제 4조 (자격 위원회)
  1. 1. 한국 소믈리에 협회는 자격에 대한 총 관리,감독할 수 있는 한국 소믈리에 자격위원회를둔다.
  2. 2. 한국 소믈리에 자격 위원회는 1명의 위원장과 2명 이상 5인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3. 3. 한국 소믈리에 자격위원회는 사무국을 둔다.
  4. 4. 위원회산하 출제 및 감독위원회를 둔다.
제 5조 (위원선출)
  1. 1. 위원장 : 협회장의 선출방법과 동일하게 선출한다.
  2. 2. 위원 : 위원장이 추천하여, 협회장이 임명한다.
제 6조 (출제위원회)
  1. 1. 출제위원회는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총괄 출제한다.
  2. 2. 출제위원회 구성은 5인 이상 10인 이하로 구성한다.
  3. 3. 출제위원은 협회 임원의 추천을 받아 협회장이 임명한다.
  4. 4. 출제위원은 출제에 대한 기밀을 유지하고, 출제에 대한 민원 야기시 민.형사상등의 책임을 진다.
  5. 5. 출제위원은 감독위원이 될 수 없다.
제 7조 (감독위원회)
  1. 1. 감독위원회는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총괄 감독한다.
  2. 2. 감독위원회 구성은 5인 이상 10인 이하로 구성한다.
  3. 3. 감독위원은 협회 임원의 추천을 받아 협회장이 임명한다.
  4. 4. 감독위원은 감독에 대한 기밀을 유지하고, 감독에 대한 민원 야기시 민.형사상등의 책임을 진다.
  5. 5. 감독위원은 출제위원이 될 수 없다.
제 8조 (시험응시자격)
  1. 1. 한국소믈리에협회 회원의 자격으로 계속하여 1년차 이상인 회원
  2. 2. 한국소믈리에협회 회원의 자격으로 계속하여 1년차 미만인 회원으로 와인관련업에 2년이상 경력자
  3. 3. 2항에 해당하는 응시자는 경력증명서 제출자에 한함.
제 9조 (시험실시 및 공고)
  1. 1. 소믈리에 자격 시험은 년 1회이상 실시할 수있다.
  2. 2. 협회는 시험실시일 2개월 전에 시험일정을 공고한다.
  3. 3. 관련사이트등의 언론 매체를 통하여 공고한다.
제 10조 (원서 교부 및 접수)
  1. 1. 원서교부 : 공고일로부터 시험실시 1개월전까지 교부한다.
  2. 2. 원서접수 : 응시원서 접수는 시험실시 3주전까지 접수한다.
  3. 3. 교부 및 접수장소 : 협회에서 지정한 장소
  4. 4. 원서 접수시 증명사진 2매를 원서에 부착 접수하여야 한다.
제 11조 (시험실시 일정 및 합격자 발표)
  1. 1. 시험은 1차 필기시험과 2차 실기시험으로 한다
  2. 2. 1차 시험완료일로부터 1주일이내에 합격자를 개별 발표한다.
  3. 3. 2차시험은 1차시험(필기시험)에 합격한자만이 응시할 수있다.
  4. 4. 2차시험은 1차시험 합격자발표일로부터 1개월이내에 실시한다.
  5. 5. 최종합격자발표는 2차시험 완료일로부터 1개월이내에 개별통보한다.
  6. 6. 1차 시험 합격자는 2년 동안 2회까지 그 자격이 유효하다.
제 12조 (자격증 등록 및 발부)
  1. 1. 최종합격자는 합격공고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수험표,신분증 사본1부, 수수료, 증명사진 4매를 제출하고, 최종합격 등록을 하여야한다.
  2. 2. 최종합격 등록을한 자는 30일후부터 자격증을 교부받는다.
  3. 3. 합격공고일로부터 60일 이내에 등록치 않으면 합격이 취소된다.
  4. 4. 자격증의 분실에 따른 재발급
    • 자격증의 분실 또는 재 발급을 원하는 자격자는 재 발급 신청서를 작성하여 재 발급받는다.
    • 자격증 재발급 업무는 매년 6월1일부터 30일까지 재발급 신청을 접수한다.
    • 자격증의 재발급은 매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 재 발급한다.
제 13조 (자격증, 뺏지 규격 및 종류)

자격증의 규격은 개인 소장용과 개인 휴대용으로 하고, 뺏지는 S.A.K자격 뺏지로 한다.

제 14조 (보수교육)
  1. 1. 자격취득후 5년 마다 2회(상,하반기)보수교육을 실시한다.
  2. 2. 보수교육은 한국소믈리에 협회 교육위원회에서 주관한다.
  3. 3. 보수교육을 외부 교육기관에 위탁할 수있다.
  4. 4. 보수교육은 실시 1개월전에 개별 통보한다.
  5. 5. 보수교육비는 한국 소믈리에 협회에서 책정 확정한다.
  6. 6. 한국 소믈리에 자격을 소지한자는 5년마다 1회이상의 보수교육을 받아야한다.
  7. 7. 보수교육을 특별한 사유없이 이수하지 아니한 자는 자격이 상실된다.
제 15조 (자격자 관리)
  1. 1. 한국 소믈리에 자격 위원회는 자격증 소지자에 한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한다.
  2. 2. 한국 소믈리에 협회회원의 자격이 상실된 자는 자격자 관리 대상에서 제외된다.
  3. 3. 제15조 2항의 대상자는 S.A.K의 정관 제10조 탈퇴 4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제 16조 (자격시험에 대한 필기시험의 면제)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자는 한국 소믈리에 협회가 인증하는 자격 시험에 1차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1. 1. 한국소믈리에협회 교육위원회에서 실시하는 교육(한국 소믈리에협회 정관 제 28조)을 3년이상 5년이하의 72시간을 이수한 회원.
  2. 2. 한국 소믈리에협회에서 지정한 교육기관에서 96시간을 이수한 회원.
제 17조 (시험 요강 및 합격기준)
필기시험
  1. 1) 과목 : 일반음료, 와인, 시가, 치즈, 서비스등
  2. 2) 문항 및 시간 : 100문항, 60분
  3. 3) 문항 비율
    • 일반음료 : 15%
    • 와인 : 70%
    • 시가 : 5%
    • 치즈 : 5%
    • 서비스 : 5%
  4. 4) 합격점수 : 100점만점 60점 합격
  5. 5) 시험시기별 상황에 따라 시험출제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비율을 조정한다.
  6. 6) 준비물 : 수험표, 신분증, 필기도구
실기시험
  1. 1) 면접
    • 항목 : 직업관, 사명감, 가치관, 예의, 서비스관, 용모 및 성품, 언어영역, 와인상식, 와인지식등
  2. 2) 실기시험
    • 구성
      • Blind Tasting : 총 5가지의 와인 : 총 30분 각각 6분
      • Food Match & Service : 와인추천,서비스(디켄팅포함)
    • 점수비율
      • 면접 : 20%(Wine Adviser 40%)
      • Blind Tasting : 40%
      • Food Match & Service : 40%(Wine Adviser 20%)
    • 입실 후 상황 설정 및 메뉴제공
    • 전체적으로 시험관은 질문하지않고, 고객이 음식과 기타 시나리오에 의한 질문
    • 평가기준
      • 서비스,언어,매너및 용모, 와인지식, 디켄팅능력등
  3. 3) 총 100점 만점 60점 이상 합격
제 18조 (시험응시및 자격증 발급 수수료)
  1. 1. 시험응시방법
    • 한국소믈리에 자격 위원회 사무국에 직접 응시함을 원칙 으로한다.
    • 시험응시 준비물 : 증명사진 2매, 응시원서 1부
  2. 2. 응시 수수료
    • 1차 필기 시험 응시 수수료 : 2만원
    • 2차 실기 시험 응시 수수료 : 5만원
  3. 3. 자격증 발급 수수료
    • 수수료 : 3만원
    • 재 발급 수수료 : 10만원
    • 단, 소믈리에, 와인 어드바이져 자격뺏지 비용은 별도로 한다.
제 19조 (효력)

한국소믈리에 자격 규정은 2003년 총회에서 통과된 날로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 한국소믈리에협회 자격규정 개정
  • 2003년 3월 15일 제정
  • 2003년 7월 27일 개정
  • 2003년 11월 8일 개정

응시자격

관광숙박업종사원(조리사 포함)자격을 취득 한 후 관광숙박업소에서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구분 관련사항
시험과목
  • 1차 면접시험 : 국가관, 사명감등 정신자세, 전문지식과 응용능력, 용모, 예의, 품행 및 성실성, 의사발표의 정확성과 논리성
  • 2차 필기시험 : 관광법규(30%), 관광학개론(30%), 호텔관리론(40%)
  • 면접시험에 합격하지 아니한 자는 필기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합격기준
  • 면접시험 : 평균 60점 이상
  • 필기시험 : 매 과목40점 이상, 전 과목 점수가 상기 배점비율로 환산하여 평균 60점 이상
시험응시에 필요한 공인 외국어시험 점수
  • 영어 : 토익(700점 이상), 텝스(670점 이상), 토플(207점 이상)
  • 시행청: 한국관광공사 http://www.knto.or.kr

JLPT 일본어능력시험

오늘날 세계 각지에서 일본어(日本語)를 배우는 학습자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습니다.더욱이 해외에 있는 일본어(日本語) 학습자가 그 어학력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는 점점 늘고 있습니다. 또한 습득한 일본어능력(日本語能力)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공적으로 인정받는 제도를 요청하는 목소리가 일본어(日本語) 학습자 사이에 높아져 왔습니다.
국제교류기금(國際交流基金) 및 일본국제교육협회(日本國際敎育支援協會)는 이러한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일본(日本)국내 및 해외에서 일본어(日本語)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을 대상으로 1984년부터 JLPT 일본어능력시험(日本語能力試驗)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시험실시는 국제교류기금(國際交流基金)이 세계각지의 문화교류, 교육단체 또는 본 시험실시를 위해 설치된 시험실시협의회(試驗實施委員會)와 협력하여 실시하고 있습니다.

주 최

日本國外務省ㆍ文部科學省
駐韓日本大使館ㆍ在釜山日本國總領事館
在濟州日本國總領事館

후 원

日本國外務省ㆍ文部科學省
駐韓日本大使館ㆍ在釜山日本國總領事館
在濟州日本國總領事館

시험의 내용

시험은 4개급으로 나뉘어져 있어 수험자가 자신에게 맞는 급을 선택합니다. 각 급은 문자·어휘,청해,독해·문법의 세 섹션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 시험의 구성 및 인정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형방법
유형별 시간 배점 인정기준
1급 문 자/어 휘 45분 100점 고도의 문법ㆍ한자(2,000자 정도)ㆍ어휘(10,000어 정도)를 습득하여, 사회생활이 가능한 정도와 대학에서 학습, 연구가 가능한 종합적 일본어 능력 (日本語를 900시간 정도 학습한 레벨)
청 해 45분 100점
독 해/문 법 90분 200점
180분 400점
2급 문 자/어 휘 35분 100점 약간 고도의 문법ㆍ한자(1,000자 정도)ㆍ어휘(6,000어 정도)를 습득하여 일반적인 회화가 가능하며 읽고 쓸 수 있는 능력(日本語를 600시간 정도 학습하고 중급 日本語코스를 마친 레벨)
청 해 40분 100점
독 해/문 법 70분 200점
145분 400점
3급 문 자/어 휘 35분 100점 기본적인 문법ㆍ한자(300자 정도)ㆍ 어휘(1,500어 정도)를 습득하여,일상적인 회화가 가능하며 간단한 문장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日本語를 300시간 정도 학습하고 초급 日本語코스를 마친 레벨)
청 해 35분 100점
독 해/문 법 70분 200점
140분 400점
4급 문 자/어 휘 25분 100점 초보적인 문법ㆍ한자(100자 정도)ㆍ 어휘(800어 정도)를 습득하여, 일상적인 회화가 가능하며 간단한 문장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日本語를 150시간 정도 학습하고 초급 日本語코스를 마친 레벨)
청 해 25분 100점
독 해/문 법 50분 200점
100분 400점
토익

TOEIC 은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의 약자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을 대상으로 언어 본래의 기능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중점을 두고 일상생활 또는 국제업무 등에 필요한 실용영어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1979년 미국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에 의해 개발된 이래 전세계 약 60여 개 국가 4,000여 기관에서 승진 또는 해외파견 인원선발 등의 목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982년 도입되었다.현재 전 세계적으로 해마다 약 400만 명 이상이 응시하고 있다.

출제분야

TOEIC 시험은 일상생활 및 비즈니스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내용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테스트의 문항들은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자주 이용되는 어휘들과 다양한 말들을 샘플로 해서 개발된다. 시험에 나오는 언어는 전 세계 일상생활이나 비즈니스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말들이다. 문제에는 일상생활, 비즈니스, 제조 분야, 인사(personnel), 여행 등과 같이 각기 다른 환경과 상황이 모두 포함돼 있다. TOEIC 시험에 출제되는 어휘나 내용은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이 영어를 사용하는 모든 상황에서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응시자에 대해 타당한 시험이 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 어휘,문법,관용어 중에서 미국영어에만 쓰이는 특정한 것은 피한다.
  • 특정문화에만 해당되거나 일부문화권의 응시자에게는 생소할 수 있는 상황은 피한다.
  • 여러나라 사람의 이름을 고르게 등장시킨다.
  • 특정 직업분야에만 해당되는 상황은 피한다.
  • 다양한 문화와 성에대한 편견이 없도록 유의한다.
  1. 1. Corporate Development : research, product development
  2. 2. Dining Out : Business and informal lunches, banquet, receptions
  3. 3. Entertainment : cinema, theater, music, art, exhibition, museum, media
  4. 4. Finance and Budgeting : banking, investment, taxes, accounting
  5. 5. General Business : contract, negotiation, mergers, marketing, sales, warranties, business planning, conference, labor relation
  6. 6. Health : medical insurance, visiting doctors, dentist, clinics
  7. 7. Housing /Corporate Property : construction, specification, buying and renting, electric and gas services
  8. 8. Office : board meeting, committee, letters, telephone, fax, e-mail, office equipments
  9. 9. Personnel : recruiting, hiring, retiring, salaries, promotion, job application
  10. 10. Purchasing : shopping, ordering, supplies, shipping, invoice
  11. 11. Travel : trains, airplanes, taxis, ferries, car rental, technical areas

국내여행안내사란?

국내의 어떤 지역의 교통과 기후, 특산물, 명승지를 제대로 규모있게 안내해주는 사람이다. 경제적인 여행, 실속있는 여행을 하기 위해 필요한 여행 전문인이 바로 국내 여행안내원이다. 여행은 단지 경치를 구경하는 것이 아니라 한 지역의 사람들과 삶의 문화를 배워 스스로의 견문을 넓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여행안내사 자격시험
  1. 1. 응시자격 : 만 18세 이상인 자(필기시험 일자 기준)
  2. 2. 전형방법
    • 전형 횟수 및 시기 : 연 1회 실시하며 4/4분기에 실시 (매년 8월경 전형일정 공고)
    • 전형절차 : 응시원서 접수 → 필기시험 → 합격자발표 → 면접시험 →최종합격자발표
  3. 3. 전형방법
    전형방법
    구분 관련사항
    시험과목
    • 필기 : 국사(30%), 관광자원해설(20%), 관광법규(20%), 관광학개론(30%)
    • 면접 : 국가관, 사명감 등 정신자세, 전문지식과 응용능력, 용모,예의, 품행 및 성실성, 의사발표의 정확성과 논리성에 관하여 평가
    필기시험면제
    • 고등교육법에 의한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서 관광분야를 전공하고 졸업 한 자(졸업예정자 및 관광분야 과목을 이수하여 이와 동등한 학력을 취득한 자를 포함한다)
    • 여행안내와 관련된 업무에 2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 초·중등교육법에 의한 고등학교 또는 고등기술학교에서 관광분야의 학과를 이수하고 졸업한 자(졸업예정자를 포함한다)
    • 필기시험에 합격하고 면접시험에 불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다음 회의 시험에 한하여 필기시험을 면제
    검정방법
    • 1차 : 필기시험
    • 2차 : 면접시험
    • 필기시험에 합격하지 아니한 자는 면접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합격기준
    • 모두 절대평가로 합격기준은 총점의 6할 이상
    • 필기는 각 과목 40점 이상, 총점 60점 이상 득점, 면접은 평균 60점 이상

    자세한 사항 : 한국관광협회중앙회 홈페이지(http://www.koreatravel.or.kr)의 회원광장 참고

자격증 제정배경

관광진흥법 제 13조, 관광진흥법 시행규칙 제 21조,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 2조에 의거하여 국내 단체관광객의 국외여행을 보다 안전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국외여행인솔자 자격인정증을 제정하게 되었다.

업무의 내용

TC란 Tour Conductor의 약자로 내국인의 국외여행 시 관광객들을 보호, 통제하고, 현지가이드와 협력하여 여행을 마치고 귀국할 때 까지 관리, 감독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T/C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히 표현하면 T/E(Tour Escort)와 T/C(Tour Conduct)로 나누어져 있다. 이것은 자격의 종류가 아니라 일의 종류에 따라서 분류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국외여행인솔가이드는 투어에스코트(Tour Escort)라 하여 고객을 모시고 여행일정 중의 수속과 불편 사항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자격 취득

1999년 12월 개정된 국외여행인솔자제도 시행규칙에 따르면 관광통역안내원 자격증을 취득한 자, 국외여행업체에서 1년 이상 근무하고 국외여행경험이 있는 자로서 문화관광부장관이 정하는 소정의 교육(소양교육)을 이수한 자, 문화관광부장관이 지정하는 교육기관에서 국외여행인솔에 필요한 교육(양성교육)을 이수한 자 등이 국외여행인솔자의 자격요건에 해당한다.

보통 문화관광부장관이 지정한 교육기관(전국27개 대학의 사회교육원, 실업자 재취업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교육비 전액면제 혜택을 주는 곳도 있다.)에서 "국외여행인솔자" 소양과정이나 "국외여행인솔자" 양성과정 등의 소정교육 수료 후 무시험 국외여행인솔자 자격인정증(문화관광부장관 발권)을 취득할 수 있다.

양성교육(수료 후 국외여행인솔자 양성 자격인정증 수여)
  1. 1. 지원자격
    •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서 관광분야의 학과 졸업 또는 졸업예정자
    • 관광관련 실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자
    • 여행업체에서 6개월 이상 근무경력이 있는 자
  2. 2. 교육기간: 192시간
소양교육(수료 후 국외여행인솔자 소양 자격인정증 수여)
  1. 1. 지원자격: 여행업체 1년 이상 근무한 외국여행 경험자
  2. 2. 교육시간: 총 15시간

항공 CRS 자격증이란?

CRS라 함은 전산 단말기를 통해 항공편의 예약, 발권운송은 물론 항공 운임 및 기타 여행에 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SYSTEM을 말한다. 이전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복잡한 예약, 발권 업무를 CRS가 대체하면서 여행사 직원들은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으며 CRS는 여행사, 항공사, 고객을 연결하는 정보 유통 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을 더해 가고 있다. 항공 CRS 자격은 항공편의 예약, 발권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말하는 것으로 항공사, 여행사, 공항 근무자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자격이다.

업무의 내용

CRS는 물론 항공업무의 자동화를 위해 개발됐지만 그러한 고유 업무에만 국한되지 않고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대표적으로 각 CRS는 항공예약, 발권 기능 외에 RENT-A-CAR, HOTEL 등의 부대 예약 기능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BACK OFFICE 기능(예약 발권 사무 지원 등 부대 기능) 또한 함께 지원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CRS는 기존의 기능 외에 버스, 철도, 공연, SPORTS 등 여행/레저에 관계된 모든 분야에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자격 취득
  • 예약 및 발권 교육
    • 항공예약 : 스케줄 조회 및 예약기록(PNR) 작성, PNR Handling 등 예약전반에 대한 내용
    • 항공발권 : 항공운임에 대한 기초지식, 운임계산방법, Rule Check, Auto Pricing, 단순여정 자동발권 등
  • TEST : 교육내용에 대한 실무 test (합격 : 총점의 60% 이상)
  • 수료증 발급으로 자격 취득

컨벤션기획사란?

국제회의를 기획하고 운영, 평가하는 사람으로 국제회의 전문용역업체의 국제회의 기획, 운영, 업무의 대행해 주고, 국제회의 관련 부대행사 (동반자 행사, 사교행사, 관광행사, 이벤트행사 등), 국제회의 참가자의 숙박, 전시회 개최 등 지원 사업체의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컨벤션기획사의 유형은 조직과 단체의 성격에 따라 기업단체회의 기획자(Corporate Meeting Planners), 미래 유망분야이면서 전문직종으로 그 가치를 크게 인정받고 있으며 향후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책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주요업무
주요업무
1. 회의기획단계 2. 회의준비단계
  • 사무국 구성 및 Staff 배치
  • 회의개최계획서 작성
  • 세부추진 계획서 작성
  • 소요예산 편성
  • 회의 주요 Program 결정
  • 예상참가자 Data관리
  • 회의장 및 숙박호텔 선정
  • 초청연사 섭외 및 연제구성
  • 포스터 및 1차 안내서 제작, 발송
  • 각 분과별 업무 매뉴얼 작성
  • 회의일정 및 세부 Program 구성
  • 초청연사 및 연제 확정
  • 회의 2차 안내서 제작, 발송 (각종 양식 포함)
  • 후원기관 및 서비스 업체 선정
  • 각종 사교행사 장소선정 및 여흥 Program 기획
  • 사전등록자 Data관리
  • Abstract 접수 및 분류
  • 예비 Program 작성
  • 회의장 배치안 확정
  • 분과별 세부업무 추진
3. 준비완료단계 4. 현장진행 및 사후처리단계
  • 최종 Program 확정
  • 사전등록 및 호텔예약 마감
  • 등록확인서 발송
  • 회의장 제반시설 점검
  • 각종 사교행사장 점검
  • 회의 소요물자 제작
  • 행사진행요원 확보
  • 사전등록자 Data관리
  • 유관기관 업무협조 관리
    • 각종 인쇄물 및 제작물 제작완료
    • 언론홍보
  • 최종리허설
  • 사무국 이전
  • 기자회견
  • 회의 진행 및 운영
  • 재무결산
  • 회의 결과보고서 제작
  • 회의 참가자 감사편지 발송
  • 총 평가회 개최
컨벤션기획사 시험
1. 응시자격
  • 컨벤션기획사 1급
    1. 가. 해당종목의 2급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직무 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2. 나. 대학졸업자 등 졸업 후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직무 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3. 다. 전문대학졸업자 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직무 분야에서 9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4. 라.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직무 분야에서 1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5. 마. 외국에서 동일한 등급 및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자
  • 컨벤션기획사 2급
    1. 가. 대학 졸업자 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
    2. 나. 전문대학졸업자 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직무 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3. 다.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4. 라. 외국에서 동일한 등급 및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자
    5. 마. 학점인정등에관한법률 제8조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졸업자와 동등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 또는 동법 제7조의 규정에 의하여 106학점 이상을 인정받은 자
    6. 바. 학점인정등에관한법률 제8조의 규정에 의하여 전문대학졸업자와 동등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로서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검정방법
검정방법
구분 1 급 2 급
검정방법 필기시험 → 경력검증 -→ 실기시험
필기시험 검정과목
  1. 컨벤션기획실무론 (40문항)
  2. 재무회계론 (40문항)
  3. 컨벤션마케팅(40문항)
  1. 컨벤션영어 (30문항)
  2. 컨벤션 산업론 (40문항)
  3. 호텔 / 관광실무론 (30문항)
검정형태
  • 4지 택일형
  • 총 120문항
  • 시험시간 180분
  • 4지 택일형
  • 총 100문항
  • 시험시간 150분
채점방식 전산채점방식
실기시험 검정과목
  1. 컨벤션 유치 제안서 영문작성 (70점)
  2. 영어프리젠테이션 (30점)
  1. 컨벤션 기획서작성 (70점)
  2. 영문 서신작성 능력 (30점)
검정형태
  • 작업형
  • 240분(표준시간), 30분(연장시간)
  • 발표(15분). 질의응답(5분)
  • 작업형
  • 240분(표준시간), 30분(연장시간)
채점방식
  1. 중앙채점방식(기획제안서 작성)
  2. 현장채점방식(영어프리젠테이션)
중앙채점방식
제출서류
  1. 최종학력졸업증명서(또는 졸업예정증명식)
  2. 재직증명서
  3. 다음 서류중 택일
       
    • 공 기관 발행 경력확인 서류
    •  
    • 연도별 소득세 원천징수 영수증
    •  
    • 공기관 발행 해당 소속기관 갑근세 납세증명서
합격결정기준
  • 필기시험 : 검정과목당 40% 이상과 전체평균 60% 이상 획득
  • 실기시험 : 전체 면접 시험관의 전체점수 평균 60점 이상 획득

관광통역안내사란?

관광진흥법에 의하여 국가에선 실시하는 통역에 관한 유일한 자격시험을 합격한 전문통역사들로서 국내를 여행하는 개인 또는 단체의 외국인에게 외국어를 사용하여 관광지 및 관광대상물을 설명하거나 여행을 안내하며, 교통기관, 숙박시설, 관광객 이용시설 및 편의시설의 이용에 대하여 안내하는 등 여행 편의를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
<예> 영어 관광통역안내사, 일본어 관광통역안내사, 불어 관광통역안내사, 중국어 관광통역안내사

주요업무
  • 한국의 역사, 문화, 문화재 안내
  • 여행객 안내(숙박, 교통, 위기대처 대응)
  • 통역업무 수행(현지인 수준의 상급회화)
  • 산업현황 소개(해외시찰단, 산업시찰단, 해외바이어, 국내바이어 해외출장, 국제회의, 전시회의 안내 업무)
  • 관광산업을 선도하는 리더로서의 역할
  • 해외 일반서적의 번역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시험
  1. 1. 응시자격 : 만 18세 이상(필기시험일자 기준)으로 학력·경력·국적제한 없음
  2. 2. 제출서류
    • 응시원서(소정양식)1부 (인터넷홈페이지: edu.etourkorea.com)에서 출력 사용 가능
    • 사진 2매 (동일사진, 최근 6개월 이내에 촬영한 탈모상반신 반명함판) 부착
    • 외국어(영,일,중어) 공인시험 성적증명서 1부 (※ 불, 독, 서, 노어는 외국어시험 별도 실시)
    • 응시수수료 20,000원
시험응시에 필요한 외국어시험 점수
시험응시에 필요한 외국어시험 점수
외국어 시험 자격구분 필요 점수 만점 비고
영어 TOEIC 490점 이상 990점 응시원서 접수 마감일 기준 2년 이내 취득 점수에 한함
TEPS 381점 이상 990점
TOEFL(CBT) 147점 이상 300점
일어 J P T 510점 이상 990점
日檢(NIKKEN) 500점 이상 1000점
중어 H S K 224점 이상 400점
전형방법
전형방법
구분 필기시험
(과목당 25문)
외국어시험 면접시험
평가내용 평가방법
시험방법 및
시험과목
  • 국사(40%)
  • 관광자원해설(20%)
  • 관광법규(20%)
  • 관광학개론(20%)

※( )는 배점비율

  • 영, 일, 중어는 공인 외국어시험 성적으로 대체
  • 불,독,서,노어는 시험 실시
  • 필기(25문)
  • 듣기(25문)
  • 국가관·사명감등 정신 자세
  • 전문지식과 응용 능력
  • 예의·품행 및 성실성
  • 의사발표의 정확성과 논리성
  • 해당 외국어 구사능력 평가
  • 실무전문상식 평가
합격
결정기준
매 과목 4할 이상,전 과목의 점수가 위의 배점비율로 환산하여 총점의 6할 이상 불,독,서,노어는 총점의 6할 총점의 6할 이상
시험면제
시험면제
면제범위 대상자 제출서류(각 1부)
필기 및 외국어 시험면제 필기시험 및 외국어시험에 합격하고 면접시험에 불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다음 회의 시험에 한하여 면제
필기시험 전부면제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다른 외국어를 사용하는 관광통역안내사 시험에 응시하는 자 자격증사본
필기시험 중 관광학개론, 관광법규 면제 고등교육법에 의한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서 관광분야를 전공하고 졸업한 자 (졸업예정자 및 관광분야 과목을 이수하여 이와 동등한 학력을 취득한 자를 포함한다) 졸업(예정)증명서
고등교육법에 의한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서 해당 외국어를 3년 이상 계속하여 강의한 자 경력(재직)증명서
강의실적증명서
초·중등교육법에 의한 중·고등학교 또는 고등기술학교에서 해당 외국어를 5년 이상 계속하여 강의한 자 경력증명서
(교육청 또는
재단이사장 발행)
해당외국어
시험면제
5년 이상 해당 언어권의 외국에서 근무 또는 유학을 한 경력이 있는 자
  • 공통
    • 출입국에관한 사실증명서
    • 재외국민등기부등본 또는 여권사본(원본 지참)등 해당국거주 증명서류
  • 근무경력자
    • 경력증명서
    • 법인등기부등본 또는 이에 상응하는 서류
  • 유학경력자
    • 졸업증명서 (기간 명시)

※ 기타 자세한 사항은 한국관광공사(http://edu.etourkorea.com)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